2022 10월 5일

중고차 고르는 법 || (1) 조금이라도 불안한차는 거르고 시작해라 (cont'd)

저번 포스팅에 선보인 바와 같이 소비자는 중고차를 살 때 항상 낭패를 볼 수 있는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61835ccf-607b-4eff-a37b-2055c25658cf

저번 포스팅에 선보인 바와 같이 소비자는 중고차를 살 때 항상 낭패를 볼 수 있는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캔다가 통계적으로 2만여대의 차들을 직접 분석한 결과

​이 확률은 26%에 달합니다.

​약 26%의 차들이:

​판매자가 제대로 정보 고지를 안했다 확신되거나, 사고가 나서 주행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구조적 피해를 입었습니다

​온라인으로 봐서 거르고, 보러 가는 것이 시간낭비인 차들이 26%인 것입니다.

​그 다음 27%의 차량들은 물음표의 영역입니다:

​판매자가 제대로 정보 고지를 안했을까 불안하거나, 사고가 나서 구조적 피해를 입었으나 경미할 수도 있거나, 상업적 용도 이력이 있어 정보가 불분명한 차들입니다

​물론 판매자 입장에선 억울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작은 수리부위를 못 찾아낼 수도 있다", "이런것도 사고차라 거르면 도대체 뭘 팔아야 하나?" 등등...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선 간단합니다.

​"살 차도 많은데 굳이 왜 불안한걸 이유를 찾아내서 사야해?"

소비자 입장에선 굳이 조금이라도 불안한 차는 눈길조차 줄 필요가 없습니다.

​조금이라도 불안한 차량은 소비자 입장에서 바꾸어 말해보면

​"나중에 팔 때 굳이 설명하면서 팔아야하는 차" 일 뿐입니다.

​가격적 메리트가 그 번거로움을 상회해야 합니다.​

이렇게

26% + 27%

도합 53%의 차량들이 일반적인 경우엔 보러 가면 안되는, 거르는 타선입니다.

​물론...

사고가 났던 차도, 명확히 사고 부위와 금액이 일치가 되도록 고지가 되고 안전한 주행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100% 투명하게 공개가 된 다음,

​적합하게 가격을 감가해서 팔면 정당한 거래가 될 수 있습니다.

​가격적인 메리트때문에 사고차를 쇼핑하고자 하는 경우도 물론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차들이 소비자들에게 안전한 주행에 어느정도 영향이 있는지와 어느정도 감가가 적당한 것인지는

​투명하게 공개되어 거래가 이루어지는 때가 흔치 않습니다.

​만약 소비자가 지식이 없다면

걸러야 하는 53%의 차량을 맞딱뜨리게 될 확률이 한없이 올라가게 됩니다.

​캔다는 이러한 문제를 '신호등' 시스템과


'가격 적정 지수'로 잡고 있습니다.


소비자에게 조금이라도 불안한 차와, 아얘 절대 구입하면 안되는 차들은 각각 '노란 신호등', '빨간 신호등'으로 걸러주되,

​가격적인 메리트 때문에 '노란 신호등 차량' 등 약간은 불안한 모험을 해볼까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해

신호등 시스템 밑에 '이 차가 왜 불안한지' 이유와 더불어

​"판매자가 얼마에 차량을 사왔는지"에 대한 데이터와

​해당 차량에 적정한 마진 범위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뒤 더하여

​적정 가격을 보여줍니다.

역설적으로 차를 가장 잘 알고 거래 많이하는 캔다의 창립자들이 선호하는 차량들은 이 '노란불'영역의 일부 차량들입니다.

​가령 '아대차 허위매물' (정비가 필요한 것처럼 멀쩡한 차 부품을 빼놓아 다른차 구입을 유도하는 허위매물) 을 일부러 찾아가서, 그 부품 빼놓은 멀쩡한 차들을 사오거나 (이 경우 허위딜러들은 '물렸다'합니다. 안 팔려고 갖은 수작을 부립니다. 안 팔면 경찰을 불러 사기죄로 입건시킵니다)

​약간 기록이 불안한 차들을 철저히 검증해서 불안함을 상쇄하는 정비 이력을 확보한 뒤에, 싼 가격에 가져오는 것입니다.​

이처럼 중고차를 절반 쳐내는 작업만으로도 복잡하고 심오합니다.

캔다팀은 이 거르는 작업을 너무 많이 하고 주변 사람들을 많이 도와온 나머지,

모든 노하우를 집대성하여 candr.app서비스를 만들기에 이른 것입니다.

​(다음글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