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월 30일
중고차 고르는 법 || (4) 당신이 보는 매물, 차주가 안 올렸을 수도 있다 (매입딜러와 알선딜러의 차이)
중고차를 살 때에는 차를 고른 다음에 매물을 알아보는 게 순서입니다. X카, XB차XX 등등 우리 주위에는 많은 중고차 플랫폼들이 있습니다. 그럼 이런 '매물'을 올리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일반인들의 생각은 그럼 상식적으로 그 매물을 '차를 갖다 파는사람이 올렸을 것이다'라고 생각합니다.

중고차를 살 때에는
차를 고른 다음에 매물을 알아보는 게 순서입니다.
X카, XB차XX 등등 우리 주위에는 많은 중고차 플랫폼들이 있습니다.
그럼 이런 '매물'을 올리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일반인들의 생각은 그럼 상식적으로 그 매물을
'차를 갖다 파는사람이 올렸을 것이다'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중고차 시장에서는 그 생각이 틀렸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중고차 딜러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매입딜러 (차주딜러)
매입딜러는 말그대로 차량을 직접 사서 판매하는 딜러입니다. 차량을 돈 주고 (현금 혹은 캐피탈) 사와서
상품화 (세차, 광택, 클리닝, 도색 등)를 직접 한 다음에,
소위 "전산 (카매니저 등 딜러 매물 공유 프로그램)"에 올립니다.
이렇게 전산에 올라간 차는 그 어떤 딜러도 판매를 중개할 수 있습니다.
매입딜러로 활동하는 사람도 다른 매입 딜러의 차를 중개할 때에는 해당 거래에선 알선딜러가 됩니다.
매입딜러로 활동하는 사람은 자신의 재산(빚까지 내서 매입하는 경우가 다수)이 걸려있는 상황에서,
만약 사고가(사기 등)나서 판매정지를 받거나 소문이 안좋게 나면 돌이킬 수 없기 때문에
주로 예측 범위 내에서 행동합니다.
(예외의 경우가 아대차, 다음번 주제로 다루겠습니다)
2. 알선딜러
알선딜러는 다른 사람이 소유한 차량을 홍보해주며 고객에게 중개하는 사람입니다.
주로 매입을 직접 할 재원이 없는 사람이 발로 뛰면서 영업하는 경우가 많아,
역량 있는 알선 딜러들은 고객 편에 서서 좋은 차량을 골라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알선딜러를 통해 구입을 하면 차주에게 구입할 때와 달리 '알선수수료'라는 것이 있습니다.
알려진 바와 달리 법적으로 정해진 수수료의 범위가 정확하지 않으며,(자관법 시행규칙 제122조)
통상적으로 30만원 가량이 부과됩니다.
또한 재산이 안 걸려있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예측 범위에서 일 하지 않는
일부 부정직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뽐뿌'에 올라온 글을 발췌하자면:
(저자 코멘트)
대부분의 알선하시는 딜러분들의 사기(?)수법
- 첫번째, 고객의뢰를 받고 찾는 매물이 있다면 먼저 (차주에게) 입금가를 물어봄
이 때 통상 딜러들사이의 암묵 상부상조를 위해 30~50만원은 빼주는 형태임.
- 양심 있는놈 : 빼준가격을 솔직하게 오픈하고 이것저것 차량상태 꼼꼼하게 봐주고, 30만원정도 받는 형태(저는 솔직히 20~30은 적당하다 생각은 듭니다.)
물론 그에 따른 고생의 결과는 있어야 겠지만요.
- 양심에 털 날수도 있는놈: 빼준 가격을 다 오픈하지 않고 자기가 알아서 20~30만원챙기고 1~20만원정도 수수료 받는 형태
-양심에 솜털 난놈 : 빼준가격을 오픈하지 않고 열심히 전화해서 사정하는 척하고 30~50만원 챙겨가는 형태(여기에 수수료덤)
-깜빵가도 시원찮을놈: 가격 올려달라고 말해서(차주에게 혹은 전산--딜러전산에는 가격을 올릴 수 있는 버튼이 있습니다--에서 자기가 알아서 up시킴) 내가 한 50깎아주는 척하고 실제로는 최소 80이상 챙겨가는 형태.
출처:https://m.ppomppu.co.kr/new/bbs_view.php?id=car&no=811377
그러면 이 '알선딜러'가
정말 좋은 차량을 찾아주고, 사후관리를 완벽하게 해 줘서 30만원어치의 일을 해 주지 않은 이상,
굳이 낄 필요가 있을까요?
다음 시간에는 "차주 딜러"를 발라내는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