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월 23일

중고차 고르는 법 || (3) 나에게 가장 잘 맞는 차는?

자동차는 자산이자 기호제품입니다. ​ 물론 기호때문에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비용을 일으키면 금융 자산으로서 실격이겠지만, 비슷한 정도의 비용을 야기한다면 결국 중요한 것은 개개인의 취향입니다.

types-of-cars

자동차는 자산이자 기호제품입니다.

​물론 기호때문에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비용을 일으키면 금융 자산으로서 실격이겠지만,

​비슷한 정도의 비용을 야기한다면 결국 중요한 것은 개개인의 취향입니다.

types-of-cars

이를테면 제가 데일리카를 고를 때에는 조건이 이렇습니다.

​나를 번거롭고 짜증나게 하지 않는 차

​추상적인 이 표현을 조금 뜯어보겠습니다.

​저는 자동차 매니아이고 스피드를 좋아하는 만큼 차에 대해 민감한 편입니다.

​우선, 차가 느려터지면 짜증납니다.
수치화하자면, 시내주행시 150마력, 고속도로 주행시 250마력 이하의 차를 탔을 때 짜증이 납니다.
​둘째, 인테리어에 플라스틱이 많으면 짜증납니다.
제가 닿는 손잡이 부위나 맨살이 스치는 부위는 모두 천 혹은 가죽으로 감싸져 있길 원합니다.
​셋째, 오디오가 싸구려면 짜증납니다.
베이스가 없거나 고음이 갈라지면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넷째, 차량의 마감과 만듦새가 좋아야 합니다.
차량을 운전하면 운전할수록 '아, 차를 이렇게까지 생각해서 만들어냈구나' 생각하는 차가 좋습니다.

이렇게 네 가지의 조건이 만족될 때,

저는 그 중에 금융지출이 가장 적은 차량을 고릅니다.

자연스레 제외되는 차량들엔:

기아 모닝, 현대 포터, 푸조 308

​등등 수많은 차량들이 있습니다.

오히려 조건을 만족하는 차량들이 적지요.

​저는 제가 살 시점의 차량들을 이 네 가지 조건으로 필터링하여 정렬한 뒤 비용산출을 하여

​살 차량을 지정합니다.

​결국에 사는 차량들은 거의 항상 일정합니다.

​"오디오가 좋고 소재마감이 훌륭한 250마력 이상의 감가가 적은 차량"

​이렇게...

​차를 쇼핑하는 모든 분들이 이렇게 자신의 취향과 결정을 시스템화할 필요가 있다 생각합니다.

​단순히 '난 싼타페 살 거야'가 아니라,

​차량의 어떤 면모를 좋아하는지를 분석하여 조건을 만들고,

​조건에 드는 차량을 냉철히 list up 하여 필터링을 진행,

​비용과 기호의 밸런스가 맞는 차량을 최종적으로 쇼핑하면 합리적인 소비가 됩니다.

​여담이지만

​수 많은 차량들을 거쳐간

제 경험상,

​'

볼보'

브랜드가 데일리카로서 저를 가장 잘 만족시킨다 느낍니다.

​볼보는 출력도 250마력을 전후할때가 많고, 소재가 고급스러우며,

오디오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마감과 만듦새가 훌륭한 브랜드라 생각합니다.

​이외에도 도요타, 혼다, 사브, 벤츠, 마쯔다, 현대, 제네시스 등 많은 브랜드들을 시도해보았지만,

제 개인적인 데일리카 기호는 거의 항상 볼보가 이상적입니다.​

​따라서 전, 비용이 비슷하면

​즉, 같은 값이면 볼보를 삽니다.

​하지만 20여대의 챠량 소유 경험 중 볼보는 단 3대 뿐입니다.

​조건이 까다롭고 선호도가 확고한 저로서도 비용이 달라버리면 다른 차량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취향을 확고히 갖되, 결정은 냉철히 하는 것,

합리적인 자동차 소비의 시작점입니다.